전략 사안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 경제를 압박하는 방식
외부 자금 조달의 부재는 러시아의 경제 안정화 수단을 크게 제약하고 있다.
![2025년 9월 2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모스크바에서 열린 세계 원자력 주간 국제 포럼에 참석했다. [알렉세이 니콜스키/AFP]](/gc7/images/2025/10/09/52275-putain-370_237.webp)
글로벌 워치 제공 |
제안된 세금 인상안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군사 공세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러시아 국민이 감당해야 하는 불필요한 비용이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 국민과 기업에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안기고 있음을 드러낸다. 2025년 첫 8개월 동안 러시아의 예산 적자는 500억 달러에 달했다. 크렘린은 군사 작전을 지속하기 위해 재원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최신 제안은 부가가치세(VAT)를 20%에서 22%로 인상하는 것이다. 이 조치는 평범한 러시아 국민의 지갑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재무부는 이번 세금 인상이 “국방과 안보”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모스크바 거리의 반응은 엇갈린다. 회계사 스베틀라나 바실렌코는 이를 “도를 넘은 조치”라고 비판했다. “끔찍해요. 이런 인상은 터무니없어요.” 그녀의 말은 이미 높은 세금 부담에 시달리는 많은 사업가들의 좌절감을 대변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 러시아의 정부 지출은 3분의 2 이상 급증했으며, 군사비는 GDP의 약 9%를 차지한다. 이는 냉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방대한 국방비 확대는 초기에는 서방 제재의 충격을 완화하며 경제 붕괴를 막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장기적인 부작용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치솟고, 2024년 같은 시기의 세 배에 달하는 예산 적자는 내년에도 상당한 수준으로 남을 전망이다. 다른 나라들과 달리, 러시아는 제재로 인해 국제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없다. 대신 국내 채권 투자자와 국가 재정준비금(SWF)에 의존하고 있다.
국제 기준으로 보면 2%의 재정 적자는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자금 조달 수단이 없는 러시아는 경제 안정화 여력이 크게 제한되어 있다. 부가가치세 인상 제안은 크렘린이 점차 선택지를 잃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다.
국민과 기업에 가중되는 무거운 부담
이번 세금 인상안은 많은 러시아인이 이미 경제적 압박을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제안됐다. 기업들에게 현행 20% 부가가치세는 이미 큰 부담이며, 22%로 인상될 경우 일부는 생존의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
“20%도 이미 너무 버겁습니다.” 바실렌코는 수많은 기업가들의 우려를 이렇게 전했다.
일반 시민에게 세금 인상은 물가 상승을 의미한다. 이미 심각한 인플레이션 속에서 구매력은 더욱 약화될 것이다.
러시아가 겪는 경제적 압박은 장기전의 숨겨진 대가를 상기시킨다. 크렘린은 일부 서방 분석가들이 예측한 ‘경제 붕괴’를 피했지만, 균열은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단순한 군사 작전이 아니라, 러시아 국민이 점점 더 큰 대가를 치르는 경제적 도박이다.
부가가치세 인상은 단순한 재정 정책이 아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이 경제에 미치는 심화된 영향을 상징한다. 크렘린이 군사적 야망을 유지하려 애쓰는 동안, 그 비용은 끝없는 전쟁을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국민에게 전가되고 있다.
러시아가 직면한 문제는 더 이상 군사 전략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경제적 지속 가능성이 중요한 과제다. 크렘린은 자국 경제와 국민을 더 이상 압박하지 않으면서 전쟁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까?
이번 세금 인상은 단기적 해법일 뿐, 장기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전쟁이 길어질수록 경제적 여파는 더욱 깊어질 것이며, 러시아는 결국 군사적 야망의 진정한 대가와 마주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