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사안
프랑스,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한 러시아의 AI 활용 허위 선전에 대해 경고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서방의 제재와 외교적 고립에 직면한 러시아가 아프리카에서 대대적인 영향력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2월 8일 보도 이미지에 나타난 AI 챗봇 앱들. 아프리카 프랑스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허위 사실이 포함된 AI 생성 게시물을 통해 친러시아 정보가 유포되고 있으며, 러시아 정부가 배후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조나단 라/NurPhoto via AFP]](/gc7/images/2025/06/18/50811-ai-370_237.webp)
AFP/Global Watch |
프랑스의 가짜 뉴스 퇴치 전담 기구 비지눔(VIGINUM)은 6월 12일, 아프리카 프랑스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허위 사실이 포함된 AI 생성 게시물을 통해 친러시아 정보가 유포되고 있으며, 러시아 정부가 배후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최근 몇 년간 아프리카, 특히 이전 프랑스 식민지 지역에서 풀뿌리 운동가들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캠페인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시도해 왔다.
러시아 용병 기업 바그너 그룹(Wagner Group)은 이전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3년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의 비행기 추락 사고 사망 이후 해체 및 재편되었다. 이후 러시아 정부는 정보 작전의 통제권을 직접 행사하려는 움직임을 분명히 드러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서방의 제재와 외교적 고립에 직면하면서 적극적으로 아프리카 국가들과 전략적 관계 강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략적 관계를 통해 러시아는 경제적 이익은 물론 유엔과 같은 국제 사회에서 외교적 우군을 확보할 수 있다.
미국 국방대 아프리카전략연구센터(Africa Center for Strategic Studies)에 따르면, 바그너 그룹과 별개로 러시아 정부가 후원하는 선전 활동이 아프리카 전역의 허위 뉴스 캠페인 약 40%를 차지하며, 특히 말리가 선전 활동의 중심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
'은밀한 온라인 활동'
미국 싱크탱크 로버트랜싱연구소(Robert Lansing Institute)는 5월 16일 최신 보고서에서 러시아가 이념적 영향력을 무기로 점차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허위 정보 유포를 넘어 서방 주도의 정보 질서에 맞서는 반대 담론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현지 민심을 바꾸기 위해 심층적인 문화•미디어•심리 작전을 실험하고 있다고 한다.
비지눔은 러시아의 '은밀한 디지털 활동'이 아프리카에서 운영 중인 신설 러시아 언론 기관 아프리카 이니셔티브(African Initiative)와 연계되어 있다고 밝혔다.
비지눔의 보고서는 프리고진 사망 이후 아프리카 이니셔티브가 러시아의 아프리카 내 정보 및 영향력 전략을 재편하고 실행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비지눔은 아프리카 이니셔티브의 활동이 러시아 국가 기관, 특히 러시아 정보 기관의 지휘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아프리카 이니셔티브는 비지눔의 의혹 제기에 대해 즉각 반응하지 않았다.
모스크바에 본사를 둔 아프리카 이니셔티브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포함한 5개 언어로 보도하며, 아프리카에서 언론 교육 과정과 기자단 현지 방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아프리카 이니셔티브는 독립 언론임을 주장하지만, 이 언론사의 기자들 중에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 바그너 그룹 사무소의 전 대변인도 포함되어 있다.
연결 고리 찾기
비지눔은 아프리카 이니셔티브가 AI 생성 이미지, 텍스트, 영상 등을 게시하고 조회 수를 높이기 위해 '악의적인 수법'을 사용해 사람들을 속이는 작전을 벌였다고 밝혔다.
비지눔의 보고서에 따르면 가짜 언론 매체를 활용한 해당 작전은 아프리카 이니셔티브가 하청을 준 웹 마케팅 회사에 의해 수행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비지눔은 가짜 언론 매체의 웹 사이트들이 수천 개의 기사를 게시했으며, 대부분 영화, 스포츠, 음악 등 비정치적 주제였으나, 이는 다른 언론 매체가 기사를 인용하거나 링크하도록 유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밝혔다.
비지눔은 수십 개의 봇 계정들이 블로그에 해당 웹 사이트 링크를 배포했으며, 관련 게시물들은 AI로 생성되었고, 일부는 러시아어에서 번역된 흔적이 있다고 보고했다.
비지눔의 보고에 따르면 복합적인 작전 계획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이니셔티브의 게시물들은 많은 조회 수를 기록하지 못했고, 해당 웹 사이트들은 12월 이후로 활동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비지눔은 메타(Meta)가 지난 8월 아프리카 프랑스어 사용 국가들을 대상으로 러시아를 홍보하고 프랑스를 비판하는 페이스북 계정들을 삭제했다고 밝힌 후 이번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챗GPT의 개발사 오픈AI는 이후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계정들이 자사의 언어 모델을 사용해 이미지, 댓글, 기사 등을 영어와 프랑스어로 생성하고, 이를 아프리카 뉴스 매체를 가장한 웹 사이트에 게시한 사실이 확인되어 해당 계정들을 차단했다고 발표했다.